.jpg)
플로리다주 올랜도, 11월18일 (로이터) - 미국의 정책 입안자들은 인플레이션을 목표치까지 낮추기 위해 고심하는 가운데 뜻밖의 곳에서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미국의 주요 경제 라이벌인 중국이 디플레이션의 망령을 쫓아내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최근 공식 데이터에서 희미한 희망의 빛이 보이긴 하지만, 중국 당국은 이 싸움에서 승리하지 못하고 있다.
중국의 연간 소비자 인플레이션은 10월에 소폭 상승했지만 생산자 물가는 37개월 연속 전년 대비 하락했다.
또한 지난달 고정자산 투자는 1.8% 감소하여 30년 전 집계를 시작한 이래 팬데믹 셧다운을 제외하면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고, 10년 만기 채권 수익률은 1.8%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어느 것도 경제가 리플레이션 확장 직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국내 디스인플레이션은 근 3년간 중국 경제의 특징이었다. 이러한 압력은 특히 주택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와 친환경 기술을 포함한 다른 많은 산업도 과잉 생산, 치열한 경쟁, 마진을 파괴하는 가격 인하로 인해 타격을 입었다.
이에 중국은 기업과 지방 당국이 부패를 막고, 방향을 바꾸고, 지속 가능한 인플레이션을 창출하기 위해 '내부 경쟁 심화 방지' 캠페인으로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국의 노력에 대한 의구심이 있다. 많은 이코노미스트들은 지난달 열린 중국 공산당 5개년 계획 회의, 즉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의 방향을 보면 중국 당국이 내수 부양보다 제조업 경쟁력 보존을 우선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말한다.
내수가 여전히 부진한 상황에서 중국 기업들은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가격을 인하하더라도 해외에서 판매하는 익숙한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다. 수출이 급증하고 있으며, 중국은 주요 무역 파트너들에게 값싼 제품을 넘쳐나게 공급하고 있다.
미국 외교관계위원회(CFR) 선임 연구원 브래드 세서는 중국의 제조품 흑자 규모가 2조 달러를 쉽게 넘어선다고 말한다. 이는 중국 GDP의 약 10.5%, 세계 GDP의 2%가 넘는 수치로 "독일과 일본의 전성기 흑자를 합친 것보다 훨씬 더 많은 흑자"이다.
중요한 것은 중국이 다른 아시아 시장으로 수출을 늘리고 있다는 점이다.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토르스텐 슬로크는 올해 중국의 대아시아 수출이 1,500억 달러 증가해 대미 수출 감소분 750억 달러의 두 배에 달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무역 전쟁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는 여전히 중국산 제품으로 넘쳐나고 있다.
◆ 중국의 새로운 수출 붐
하지만 이러한 급증세는 중국의 이전 수출 호황과는 다르다.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중국은 티셔츠부터 TV까지 값싼 제품을 세계 경제에 넘쳐나게 하는 세계의 공장이었다. 디플레이션적 공급 충격이 강했고 미국, 유럽 및 기타 대형 시장의 소비자들이 그 혜택을 톡톡히 누렸다.
오늘날 중국은 생산 가치 체인에서 훨씬 더 높은 위치에 있으며, 중국의 경쟁자는 더 이상 저비용 신흥 경제국이 아니라 일본과 독일 같은 선진 제조 국가이다.
중국은 이제 자동차, 전기 자동차, 태양광 패널 및 기타 고품질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한다. CFR의 세서가 지적했듯이 중국은 현재 전 세계 자동차 시장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600만 대 이상의 자동차를 수출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수출량이 80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독일과 일본이 긴장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수석 글로벌 이코노미스트 이네스 맥피는 "중국은 수출 주도 성장 모델을 두 배로 강화하고 있다. 차이점은 이제 더 많은 자본과 중간재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말한다.
◆ 디스인플레이션 국가
중국의 새로운 공급 충격이 글로벌 가격을 제한하거나 심지어 하락시키는 데 도움이 될까? 아마도 그럴 것이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 맥피의 동료들은 중국 수출 가격이 10% 하락하면 미국의 생산자 물가가 0.1~0.2%, 동남아시아에서는 약 0.6% 하락할 것으로 추정한다. 중국 내수 산업의 인플레이션이 10% 낮아지면 그 타격은 각각 0.3%와 1.6%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한다.
이는 의미 있는 영향이다.
중국의 최근 국내 신호는 중국의 디스인플레이션이 당분간 지속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약한 물가 환경은 베이징의 정책 입안자들을 계속 걱정하게 만들 수 있지만, 워싱턴의 정책 입안자들에게는 다소 위안이 될 수 있다.
칼럼원문 nL8N3WT0V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