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11월05일 (로이터) - 수요일 아시아 증시는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으며, 투자자들이 인공지능이 주도하는 장기 랠리에 제동을 걸면서 기술주가 손실을 주도했다.
사상 최고치에서 후퇴한 것은 월가의 대형주인 모간 스탠리(MS.N)와 골드만 삭스(GS.N)의 CEO가 높은 밸류에이션의 지속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주식 시장이 과도하게 팽창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것이기도 했다.
시장 반응: 나스닥 선물 NQc1 은 1% 하락했고, 밤사이 월가의 현금 지수 .IXIC 가 2% 하락한 데 이어 한국 .KS11 과 일본 .N225 의 지수는 화요일에 기록한 최고치에서 5% 이상 하락했다. MKTS/GLOB
논평:
매트 심슨, 수석 시장 애널리스트, 스톤엑스, 브리즈번:
"나스닥이 7개월 연속 상승하고 4월 저점 대비 50% 이상 상승한 것을 고려할 때, 현재의 매도세는 큰 틀에서 보면 미미한 수준에 불과하다.
"어느 시점에서는 수익을 실현해야 한다.
"하지만 글로벌 시장처럼 모멘텀이 약해지면 손절매가 발동되고 트레이더는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다른 시장에서 청산해야 하며, 이는 다시 새로운 약세 활동을 촉발한다. 돈을 가진 사람들은 지금 정답을 찾고 있는 것이 아니라 시험 보는 아이들처럼 서로를 따라하고 있을 뿐이다. 그리고 답은 도망치는 것이다."
차루 차나나, 수석 투자 전략가, Saxo, 싱가포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후 아시아의 AI 및 반도체 선두주자들 사이에서 포지션 정리와 이익 실현이 나타나는 전형적인 날이다. 미국 빅테크의 흔들림은 글로벌 성장주와 AI 종목 전반에 걸쳐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고, 급격한 암호화폐 하락은 광범위한 위험 선호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으며, 엔화 강세는 수출 비중이 높은 일본 증시에 부담을 주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이 합쳐져 아직 패닉 매도로 보이지는 않는 건전한 조정을 이끌고 있다."
제이슨 웡, 수석 시장 전략가, BNZ, 웰링턴:
"이제 그동안의 주식 시장 랠리를 잠시 멈춰야 할 때다. 한동안 일방통행이었지만 이제는 리스크 오프 심리가 시장에 만연해 있다.
"지난주 미국 연준은 미국 정책 완화로 가는 길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는 경각심을 일깨워준 것일 수도 있다. 약간의 조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라이언 펠스만, 수석 이코노미스트, COMMSEC, 시드니:
"현재로서는 약간의 차익 실현이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연방정부 셧다운이 35일째로 접어들면서 미국 정부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미국 정부가 결국 재개되면 채권 수익률이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으며, 채권 수익률이 높아지면 기술주와 같이 성장 및 금리에 민감한 유형의 주식이 다소 압박을 받을 수 있다.
"분명한 것은 현재 기술 섹터의 주가가 너무 비싸다는 점이다. 가격이 비싸고 투자자들은 시장이 너무 과열된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를 하고 있다."
SHIER LEE LIM, 수석 FX 및 매크로 전략가 APAC, 컨버라, 싱가포르:
"뚜렷한 촉매제가 없다는 것은 성장 전망에 대한 우려, 미국 정부 셧다운 협상 진행, 주요 산업의 자본 지출에 대한 감시 강화 등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투자자들의 경계심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토니 시카모어, 시장 애널리스트, IG, 시드니:
"저는 이것이 움직임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아마도 6~7가지 이유가 합쳐져 위험 회피 매도가 시작된 것 같다.
"랠리는 4월 저점 이후 끊임없이 이어져 왔으며, CEO들이 조정을 경고하고 빅쇼트의 마이클 버리가 엔비디아와 팔란티어에서 하락세를 매수했다고 말한 데 이어 (미국) 정부 셧다운이 현재 기록적인 영역에 있는 등 이제 하락을 이어갈 이유가 너무 많다."
존 위타르, 싱가포르 픽셋 자산 관리 수석 포트폴리오 매니저: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지만 결국 포지셔닝에 달려 있다고 생각한다. 개인 투자자와 헤지펀드는 특히 전 세계적으로 기술주에 대한 롱 포지션에 극도로 노출되어 있으며, 하룻밤 사이 밸류에이션에 대한 일부 부정적인 CEO의 발언과 암호화폐의 급격한 하락이 겹치면서 투자 심리가 악화되었다.
"매도세는 주로 포지셔닝에 따른 것으로 보이며, 최근 실적이 좋았던 종목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소프트뱅크와 SK하이닉스 같은 종목이 여기에 포함된다. 어제 SK하이닉스에 대한 '투자 주의'는 확실히 개인 및 기관 투자자들을 겁먹게 만들었다."
ORIANO LIZZA, 세일즈 트레이더, CMC 마켓, 싱가포르:
"시장이 하락한 이유는 아마도 조금 지나쳤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과도하게 팽창된 밸류에이션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고, 이제 그 문제가 표면화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시장은 항상 미래 지향적이기 때문에 이 시장 모멘텀을 유지할 수 있는 다른 촉매제가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고 생각한다.
"단기적으로는 이런 매도세 이후 시장이 어떻게 반응할지가 관건이라고 생각한다. 이번에는 사실 조금 더 흥미롭게도 전반적으로... 자산에 구애받지 않는 광범위한 시장 매도를 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반적으로는 하나의 시장이지만, 이번 시장은 지수 시장이 더 광범위한 매도를 촉발했고, 이것이 아마도 서서히 스며들기 시작한 공포 심리일 것이다."
로레인 탄, 모닝스타 아시아 주식 리서치 디렉터, 싱가포르:
"시장은 소비와 소비자 신뢰에 대한 우려에 대한 미국의 밤사이 매도세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AI 관련 기업의 주가가 과도하게 책정된 것도 원인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