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8월7일 (로이터) - 이달 관세 마감 시한을 앞두고 제조업체들이 중국과 미국의 관세 휴전을 최대한 활용하여 상품을 선적함에 따라 7월 중국 수출이 예상치를 상회했다.
7일 발표된 세관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7월 수출은 전년 대비 7.2% 증가해, 로이터 전망치인 5.4% 증가와 6월의 5.8% 증가를 모두 상회했다.
수입은 6월의 1.1% 증가에 이어 4.1% 늘어났다. 로이터 조사 전망치는 1.0% 감소였다.
미-중 양국이 지난 5월과 6월에 희토류 광물 및 기술과 같은 비관세 장벽을 낮춰 무역전쟁을 더 이상 격화시키지 않기로 한 기본 합의에 도달한 가운데, 중국은 8월12일 관세 합의 시한에 직면해 있다.
중국의 7월 무역 흑자 규모는 6월의 1,147억 7,000만 달러에서 982억 4,000만 달러로 축소됐다.
중국 정부 고문들은 무역 긴장과 디플레이션이 전망을 위협함에 따라 중국의 향후 5개년 정책 계획에서 경제 성장에 대한 가계 부문의 기여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을 강화하고 있다.
그리고 최고 지도자들은 중국 기업들의 공격적인 가격 인하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이코노미스트들은 경기 침체가 고용에 더 큰 위협이 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디플레이션 침체를 되돌리기는 10년 전 공급 측면 개혁 때보다 훨씬 더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한다.
미국 및 유럽연합과 합의에 도달하면 중국 관리들은 개혁 의제를 추진할 수 있는 더 많은 여지를 갖게 될 것이다.
그러나 애널리스트들은 서방의 무역 압박이 완화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한다. 하반기 수출 성장률은 지속적으로 높은 관세,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수출 경로 변경과 관련한 새로운 단속, EU와의 관계 악화로 인해 급격히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코노미스트인텔리전스유닛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쉬 톈천은 "이번 무역 데이터는 동남아시아 시장이 미중 무역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라고 말했다. (※ 관련기사 nL6N3TZ07S)
그는 "아세안 국가들은 중국으로부터 원자재와 부품을 수입한 뒤, 이를 완제품으로 가공해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기도 하다"라고 덧붙였다.
중국의 7월 대미 수출은 전년비 21.67% 감소한 반면 아세안으로의 수출은 16.59% 증가했다.
* 원문기사 nL1N3TZ05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