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da PasquiniㆍHelen Reid
런던, 7월30일 (로이터) - 스포츠웨어 브랜드 아디다스 ADSGn.DE는 수요일 미국 관세로 인해 하반기에 약 2억 유로 (2억 3,100만 달러) 의 비용이 추가될 것이라고 보고한 후 미국에서 가격을 인상해야 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아디다스 주가는 7% 이상 하락하여 올해 초 이후 주식 손실이 23%에 달했습니다.
아디다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불안정한 무역 정책의 영향을 강조하면서 불확실성 때문에 연간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가격 인상 가능성을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비욘 굴든 최고경영자는 성명에서 "우리는 아직 미국의 최종 관세가 어떻게 될지 알지 못한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이러한 모든 관세가 큰 인플레이션을 야기할 경우 소비자 수요에 어떤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지 알 수 없습니다."
굴든은 컨퍼런스 콜에서 기자들에게 관세가 확정되면 아디다스는 가격을 검토하고 미국에서 어떤 제품에 대해 가격을 인상할지 결정할 것이라고 말하면서 가격 인상 폭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가능한 한 알려진 모델 () 의 가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려고 노력할 것이며, 이전에는 없었던 제품에 대해 새로운 가격을 책정할 것입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LSEG가 집계한 데이터에 따르면 아디다스 매출은 유로 기준으로 2.2% 증가한 59억 5천만 유로 (69억 달러) 로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예상치인 62억 유로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부족분은 트렌디한 세 줄무늬 멀티컬러 삼바 및 가젤 신발에 힘입어 매우 강력한 매출 성장세를 보였던 아디다스가 모멘텀을 잃고 있다는 우려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투자자들이 이를 일시적인 좌절로 간주하려면 회사는 하반기 전망과 2026년 초 주문량에 대한 안심할 수 있는 메시지를 전달해야 합니다."라고 UBS 애널리스트 로버트 크랑코프스키가 고객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말했습니다.
신발 관세
이달 초 미국은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디다스 제품의 각각 30%와 23%를 생산하는 아디다스의 최대 소싱 국가인 베트남(link) 수출품에 20%, 인도네시아(link)의 제품에 19%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굴든은 미국으로 수입되는 신발은 트럼프 이전에 이미 관세가 부과되었으며, 새로운 관세로 인해 베트남산 신발에 대한 관세는 26%에서 46%로, 인도네시아산 신발은 24%에서 43%로 인상되었다고 말했습니다.
아디다스 (link) PUMG.SE를 비롯한 다른 많은 스포츠웨어 회사들과 마찬가지로 아디다스도 관세 부과에 앞서 미국으로 제품을 선적한 결과 6월 말 재고가 16% 증가한 52억 6,000만 유로에 달했습니다.
굴든은 관세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아디다스 매출의 약 5분의 1을 차지하는 미국은 여전히 핵심 시장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통화에서 "우리는 성장을 원하며 사업을 두 배로 늘리기 위해 미국에 과잉 투자할 의향도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관세 인상은 이미 아디다스의 2분기에 "두 자릿수" 백만 유로의 영향을 미쳤으며, 아디다스는 또한 달러 약세와 중국 위안화 약세로 인해 분기 매출에서 3억 유로가 감소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러나 분기 영업이익은 5억 4,600만 유로를 기록하여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인 5억 2,000만 유로를 앞질렀습니다.
아디다스는 운동화와 캐주얼 의류 등 '라이프스타일' 매출이 소 프린트, 호피 프린트, 메탈릭 버전의 SL72 및 삼바 운동화 덕분에 13% 성장했다고 밝혔습니다. 록 그룹 오아시스와의 재결합 투어를 위한 상품 콜라보레이션도 매출을 끌어올렸다고 굴든은 말했습니다.
(1달러 = 0.8651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