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su YimㆍHyunjoo Jin
SEOUL, 6월05일 (로이터) - 미국에서의 온라인 성공에 힘입어 한국의 화장품 스타트업들이 세계 최대 소비 시장에서 오프라인 매장을 확대하고 있으며, 대중적인 매력이 관세로 인한 타격을 상쇄할 것으로 확신하고 있습니다.
티르티르, 달바, 토리덴, 뷰티 오브 조선과 같은 브랜드는 주요 소매업체와 미국 매장에 입점하기 위해 협의 중이라고 회사 경영진이 로이터에 밝혔습니다.
한국의 뷰티, 즉 "K-뷰티" 제품은 품질, 가격, 기민한 마케팅으로 전 세계적으로 경쟁할 수 있으며, 아시아 수출 대국의 다른 소비자 히트 상품인 음악, 영화, 텔레비전의 성공으로 큰 혜택을 받았습니다.
티르티르의 안병준 대표는 "과거 싸이, 방탄소년단, 그리고 '기생충'과 같은 한국 드라마와 영화 등 K-컬처가 그 길을 열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미국 시장에서는 이미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었습니다. 그때 한국 화장품이 들어왔죠. 품질은 좋았지만 가격은 로레알이나 에스티로더 같은 기존 명품 브랜드보다 저렴했다"고 말했다
티르티르의 인지도는 지난해 어두운 피부를 위한 쿠션 파운데이션 쉐이드가 온라인에서 입소문을 타면서 급상승했습니다. 안은 올 여름 얼타 뷰티의 일부 미국 매장에서 이 제품을 판매할 예정이며, 올해 미국 매출을 두 배로 늘리는 것이 목표라고 로이터에 말했다.
로이터가 화장품 회사 최고경영자, 임원, 업계 전문가 등 10여 명을 인터뷰한 결과 세포라, 얼타 뷰티, 코스트코 <코스트오>, 타깃 TGT.N 등 미국 내 유통업체들이 한국 화장품 브랜드와 오프라인 매장 판매를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또한 한국 브랜드가 마진이 높은 비즈니스 모델 덕분에 경쟁사보다 관세를 더 잘 견뎌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들 중 상당수는 비용을 낮추기 위해 코스맥스192820.KS나 패스트 뷰티의 폭스콘으로 불리는 콜마와 같은 위탁 제조업체에 생산을 아웃소싱(link)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2024년에 독일을 제치고 프랑스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뷰티 제품 수출국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30억 달러 규모의 화장품 생산량 중 5분의 4는 수출용이며, 주로 이커머스 판매에 의해 주도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서울을 방문한 25세의 율리에트 멘도사는 K팝 보이밴드 방탄소년단의 팬으로, K-뷰티 제품에 더 큰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녀는 올리브영 매장에서 "고쳐야 할 부분과 피부를 바로바로 해결해준다"고 말했습니다.
변화하는 환경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전면적인 관세 부과로 세계 무역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미국의 압박은 세계 주요 수출업체들에게 까다로운 시기에 찾아왔습니다.
그러나 관세 부과로 인해 한국의 뷰티 수출업체들이 불확실성을 겪고 있지만, 강력한 수요가 이를 일부 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경영진은 말합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뷰티 리테일러인 올리브영은 이르면 올해 안에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첫 번째 매장을 열 계획이라고 이 회사의 글로벌 플랫폼 사업부 진세훈 부사장은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말했습니다.
진 부사장은 "미국, 특히 캘리포니아는 글로벌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가장 많은 고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미국의 관세가 부담스럽기는 하지만 K-뷰티의 인기와 가성비를 해칠 정도는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관세에도 불구하고 K-뷰티의 최대 해외 시장인 중국으로의 수출이 지정학적 긴장과 경쟁으로 인해 감소한 이후에도 미국 진출은 모멘텀을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달바 글로벌 483650.KS이 소유하고 비건 미스트 세럼과 선크림으로 유명한 스킨케어 브랜드 달바는 코스트코, 얼타 뷰티, 타겟과 소매 유통을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세포라 대변인에 따르면 LVMH의 화장품 체인점인 세포라는 올 여름 한국 브랜드 토리든과 뷰티 오브 조선을 새롭게 론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코스트코, 타겟, 얼타는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습니다.
티르티르의 안은 미국이 이미 부과한 10%의 기본 관세는 "견딜 수 있다"면서도 7월에 예정된 한국 제품에 대한 25% 관세로 인해 회사가 "조금" 가격을 인상해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주요 동맹국인 한국은 미국과의 무역 협상(link)에서 관세 면제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올해 얼타 뷰티 매대를 강타한 아누아 스킨케어 제품제조업체인 파운더스는 경쟁사보다 높은 관세를 흡수할 여지가 더 많다고 정준호 전략 팀장은 말했다. 이 회사는 작년에 30%가 넘는 영업이익률을 기록했습니다.
니치 브랜드
공식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은 2024년 프랑스를 제치고 대미 최대 화장품 수출국으로 부상했으며, 이는 아마존 AMZN.O를 통한 온라인 판매에 힘입은 결과입니다.
유로모니터 데이터에 따르면 조선의 미인, 메디큐브, 바이오댄스 등 미국 이커머스에서 상위 5개 한국 화장품 브랜드는 지난 2년간 온라인 매출이 평균 71% 성장하며 미국 전체 시장의 21% 성장률을 상회했습니다.
로레알 파리, 디올, 랑콤을 포함한 상위 5개 프랑스 브랜드는 같은 기간 동안 15%의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한국의 성공에는 소셜 미디어가 큰 역할을 했습니다.
한국에서 활동하는 뷰티 마케터 오딜 모노드는 "요즘에는 바이럴 영상이나 인플루언서의 추천만으로 제품이 해외에 출시되기도 전에 글로벌 베스트셀러가 될 수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오프라인 매장 판매가 늘어나야 한다고 화장품 유통업체 실리콘2257720.KQ의 제이슨 김 최고경영자는 말합니다.
현재 투자자들은 달바 글로벌의 주가가 지난달 상장 이후 두 배 이상 상승하는 등 한국의 잠재력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K-뷰티 트렌드는 강력합니다."라고 Silicon2의 김 씨는 말합니다. "하지만 인디 브랜드도 도전에 직면할 것입니다."